교육 이모저모 / / 2022. 9. 20. 15:15

특수학교 초등학생은 구체적인 수업 계획이 필요하다

자석의 성질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업을 연구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수업의 계획안을 서술하고자 한다.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행동특성

본 수업에는 총 6명의 학생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ㅇ정 학생은 익숙한 일상생활의 현상에 대해 원인과 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석을 조작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의사를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반향어가 있으며 수업 중 이석 행동이 있다. 또래 친구를 항상 잘 도와준다. 양ㅇ경 학생은 물건의 조작능력이 뛰어나며 이해능력은 부족하지만 구체적인 지시사항을 잘 따를 수 있다.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는 능력이 있다. 활동을 독점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고 꼼꼼한 성격 때문에 다른 친구들을 잘 챙긴다. 자리에 앉아있을 때는 발표는 잘하지만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되면 수줍음을 타면서 말을 잘하지 않는다. 장ㅇ혁 학생은 받침이 없는 글을 읽고 쓸 수 있으며 도움을 받아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일의 원인을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자석을 만지는 것을 재미있어한다. 교사의 지시를 잘 따를 수 있으며 화가 났을 땐 자리를 이탈하여 바닥에 눕거나 뛰어다니기도 한다. 정ㅇ욱 학생은 표현 언어가 부족하지만 수용 언어와 이해능력이 좋은 편이다. 물체의 움직임에 대해 관심이 많고 도움을 받아 현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자기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꼼꼼한 성격으로 인해 맡겨진 일을 성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관심 있는 활동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최ㅇ영 학생은 수업 참여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다른 친구들의 활동을 모방할 수 있고, 도움을 받아 활동 판을 완성할 수 있다. 자주 피곤해하며 수업 중 눈 마주치는 것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 그리고 행동이 다소 느리다. 유ㅇ지 학생은 손의 힘이 좋아서 자석을 쥐어주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 과제 회피 경향이 있어서 활동을 제시할 경우 울거나 휠체어에서 내리려고 한다. 

수업의 실제

수업의 시작은 인사하는 것이다. 교사를 따라 학생들은 인사 노래를 크게 따라 부른다. 지난 시간 활동사진을 화면에 제시하여 상기할 수 있도록 한다. '깊은 상자 속에 클립 꺼내기' 마술을 시연하며 본시 학습하게 될 내용에 대해 동기를 유발하는 순서를 가진다. 학생들은 눈앞에 펼쳐진 신기한 광경에 집중하게 된다. 교사는 칠팔에 적힌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 가 모둠 목표는 다음과 같다. 자석이 종이를 통과하는 성질을 알아 표현할 수 있다. 나 모둠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촉구를 받아 자석이 종이를 통과하는 성질을 알아 표현할 수 있다. 다 모둠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자석이 종이를 통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다. 종이상자, 전시활동사진, 학습목표판, 활동 안내판 등의 자료가 필요하다. 첫 번째 활동은 '철가루 그림 그리기'이다. 철가루가 담긴 종이판을 제시하며 밑그림에 철가루로 색을 칠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종이판에 자석을 이용하여 색칠한다. 자석으로 종이판 밑그림에 색을 칠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질문하면 주로 가 모둠 학생들이 적극적인 대답을 할 것이다. 두 번째 활동은 빈칸 채우는 활동이다. 교사는 실험사진을 자석의 성질과 연결할 수 있는 활동 판을 제시한다. 가 모둠 학생들은 활동 판 사진을 보며 자석의 성질을 발표하고, 나 모둠 학생은 사진을 보고 해당 단어카드 중에 찾아서 붙인다. 다 모둠 학생들은 사진을 보고 자석의 성질을 다시 상기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자석의 성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반복해서 설명한다. 세 번째 활동은 '씽씽 자전거'라는 활동이며 클립을 끼운 자전거판을 제시하면 학생들은 클립을 끼운 자전거를 빨리 도착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자석을 움직이는 활동에 참여한다. 자전거가 빨리 도착한 학생에게 강화함으로써 의욕을 고취시킨다. 박수도 쳐주며 서로 협력과 배려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활동에서 자칫 경쟁에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한다. 모든 활동을 마치면 수업을 정리하는 시간이 다가온다. 교사는 학생들의 첫 번째, 두 번째 활동의 결과물을 제시하며 질문하고 학생들은 스스로 혹은 촉구를 받아 대답을 한다. 평가 시간을 통해 학생들이 자석의 성질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피드백을 한다. 다음 과학 수업시간도 기대감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차시 예고를 한다. 인사 구호를 외치며 수업을 마무리한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