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이모저모 / / 2022. 9. 19. 20:00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하나의 곡도 이렇게 배운다

우리나라 고전 이야기로 만들어진 제재곡을 흥미로운 활동을 통해 익혀보는 수업의 실제 순서를 서술하고자 한다.

 

장애를 가진 학생의 행동특성

김ㅇ순 학생은 지적장애 1급 학생이다. 대체로 노래를 들으면 몸을 흔들며 반응할 수 있고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교사의 신체적 촉진으로 소품과 모형을 활용하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두 손을 귀 옆에 대고 팔랑거리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고집이 세며 자신만의 방식이 있고 그대로 행하는 것을 좋아한다. 대변 처리 시 지퍼를 내려주고 올려주는 것을 제외하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김ㅇ혜 학생은 대변 처리가 미흡하여 도움이 필요하다. 코를 파는 행동을 좋아한다. 수업을 거부할 때가 많고 자리 이탈이 심하다. 관심받는 것을 좋아한다. 오ㅇ식 학생은 일반적인 다운증후군 특성과는 달리 사회성이 적은 편이다. 고집이 매우 센 편이며 "엄마"라고 소리를 지르고 꼬집기도 한다. 거의 엎드려있고 안경을 뺏으면 싫어한다. 빳빳한 촉감의 카드를 좋아하여 늘 지니고 다닌다. 

수업의 실제

학습목표는 모둠별로 다르다. 가 모둠의 목표는 '곡의 가사의 뜻을 알고 노래를 부를 수 있다.'이며, 나 모둠의 목표는 '곡의 가사의 활동을 신체로 표현하며 노래를 부를 수 있다.'이다. 다 모둠의 목표는 '노래를 듣고 어떠한 반응을 할 수 있다.'이다. 

도입 단계에서 교사는 가장 먼저 인사를 한다. 작은북을 몸에 지니고 학생들에게 다가가 북을 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반가운 인사를 나눈다. 가와 나 모둠 학생은 "네."대답을 하며 북을 친다. 다 모둠 학생은 북을 치면서 교사와 눈을 마주친다. 지난 시간 배운 내용을 질문하고 학생들은 대답하거나 그 상황에 집중한다. 지난 시간에는 소고를 치며 제재곡을 익히는 시간이었기 때문에 상기하며 활동을 한다. 본시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가와 나 모둠 학생들은 크게 따라 말하거나 읽는다. 첫 번째 활동은 '흥부와 놀부'이야기를 알고 노래 부르는 활동이다. ppt에 적힌 가사를 보며 이야기를 듣는다. 교사는 행동과 말투에 변화를 주며 흥미롭게 전달한다. 이후 동영상을 보면서 이야기를 다시 이해한다. 활동의 마지막은 제재곡을 함께 불러보는 시간을 갖는다. 교사는 피아노 반주를 하며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지도한다. 두 번째 활동은 '제비 다리 고쳐주기, 박 씨 얻기, 박 타기 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노래를 부르는 활동이다. 노랫말 속 주요 활동 중 몇 가지를 추출한 것이다. 미리 준비한 제비의 모형과 박 씨 모형, 박 모형, 톱 모형, 금은 모형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때 교사는 우리나라 전통 악기 중 하나인 장구로 장단을 맞추며 더욱 신명 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동의 마지막 순서는 제재곡을 부르며 마무리한다. 세 번째 활동은 역할놀이를 하며 노래를 부르는 시간이다. 흥부와 놀부, 제비 등 각 역할에 맞게 학생들을 구분하고 역할별 특성을 띠는 소품을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흥부 역할의 특성을 살린 소품은 머리띠를 활용, 놀부 역할의 특성을 살린 소품은 갓과 점을 준비하고, 제비 역할은 주로 자리에 이탈하는 것을 싫어하는 학생으로 맡는다. 이 활동에도 교사는 장구 장단을 치며 흥을 돋워주는 역할도 한다. 활동의 마지막 순서는 모든 역할의 특성을 살려 풍성하게 노래를 즐기는 시간을 갖는다. 정리와 평가의 단계는 어느덧 수업의 종료가 임박했음을 예고한다. 학생들이 목표를 잘 달성했는지 하나하나 평가하는 시간이며 학생들은 성취감을 습득하는 시간이다. 학생들의 활동 참여 및 수행 정도를 개별 평가한다. 가 모둠 학생들은 노래 가사 뜻을 알고 노래를 불렀는지, 가사의 활동을 신체로 표현하며 노래를 부를 수 있었는지, 역할 놀이를 하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었는지 등을 평가한다. 나 모둠 학생들은 '흥부와 놀부'이야기에 집중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었는지, 언어적 도움을 받아 활동을 신체로 표현하며 노래를 부를 수 있었는지, 도움을 받아 역할에 맞는 행동을 하며 노래를 부를 수 있었는지 등을 평가한다. 다 모둠 학생들은 이야기를 듣고 신체적 반응을 보일 수 있었는지, 신체적 도움을 받아 박 씨 주기 활동을 신체로 표현할 수 있었는지, 도움을 받아 역할에 맞는 소품을 착용하여 노래를 듣고 반응할 수 있었는지 등을 평가한다. 많은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어 다음 수업시간을 기대할 수 있도록 차시 예고를 한다. 수업 마무리 인사를 나누며 수업 마무리를 짓는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