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수업을 위해 이 단원을 설정한 이유와 참여하는 학생들의 현행 수준 및 특성을 서술하고자 한다.
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명은 '일기 쓰기'이며, 소단원명은 '사진 속에 나는 무엇을 하고 있나요?'이다. 제재는 '귤현차량기지 현장학습에 대한 일기 쓰기'이다. 위 단원을 선정한 이유를 서술하겠다. 사람들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함과 동시에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한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들은 인지발달의 지체와 부적절한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해 비장애 학생들에 비해 현저하게 지체를 보인다. 이로 인해 사회적응 활동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적인 면에 있어서 심한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이들의 적응 능력을 증진시켜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생활 경험과 연관된 언어 사용 능력과 기능 또한 태도를 기르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 성장하는 학생들이 효과적인 자기표현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쓰기 및 읽기 지도가 기본이 되며, 사진 속 자신의 모습을 보며 경험을 이야기하고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창의적인 언어 표현을 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일기에 사용되는 문장들은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을 중심으로 쓰이기 때문에 관련 중심 단어와 문장을 익히는 데 아주 효과적인 제재가 될 수 있다. 자기가 직접 경험한 일들을 되돌아보며 나를 둘러싼 주변 환경과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자연스러운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그 환경과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살피는 습관을 기를 수 있으며 표현하는 능력 또한 기를 수 있게 된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좋고, 자연스럽게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일기 쓰기를 지도하고자 한다.
장애학생의 현행 수준
'가' 수준의 박ㅇ준 학생은 남학생이다. 자기 생각을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고, 글쓰기도 가능하다.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지킬 수 있다. 이 학생은 지시 따르기가 가능하며 만들기나 쓰기 등의 활동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지는 것을 싫어하고 간섭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김ㅇ서 학생은 여학생으로 자기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글쓰기도 가능하지만 띄어쓰기를 어려워한다. 솔선수범하여 학급일을 해내며 성실하고 부지런하다. 자신감은 다소 부족한 편이다. 박ㅇ우 학생은 남학생이다. 문장 표현 및 글쓰기가 가능하지만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어려워한다. 학습에 대한 열의가 높으며 그만큼 높은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 흥분할 땐 종종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정ㅇ수 학생은 남학생이며 자기 생각을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유의하여 글쓰기를 할 수 있으나 일정한 크기로 글자 쓰는 것을 어려워한다. 학습에 대한 참여도가 높고 성격이 급한 편이다. '나' 수준의 최ㅇ종 학생은 남학생이며 자기 생각과 느낌을 간단한 단어로 표현한다. 받침이 없는 단어를 쉽게 읽을 수 있고 덧쓰기가 가능하다. 정리정돈이 몸에 배어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과제 집중시간이 짧은 편이다. 손ㅇ정 학생은 여학생이며 문장 표현 및 글쓰기가 가능하다. 손 움직임이 불편하기 때문에 글쓰기에 약간 어려움이 있다. 칭찬받는 것을 좋아하고, 선생님과 친구들 도와주는 일을 도맡아 하는 학생이다. '다' 수준 이ㅇ관 학생은 남학생이며 자기 생각을 간단하게 말로 표현할 수 있고 단어를 따라 쓸 수 있다. 제시된 단어와 관련된 그림이나 사진을 보고 구별할 수 있다. 친구들을 잘 도와주며 스스로 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고집이 센 편이며 흥미가 없는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한다. 서ㅇ리 학생은 여학생으로 자기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단어 따라 쓰는 것이 가능하며 제시된 단어와 관련된 사진을 잘 구별할 수 있다. '라' 수준 이ㅇ리 학생은 남학생이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부 단어들을 들을 수 있고 사진이나 그림 보는 것을 좋아한다. 자기가 알고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구별할 수 있다. 체육 활동을 좋아하고 자리에 오래 앉아있는 것을 힘들어한다. 고ㅇ환 학생은 남학생이다. 자기가 알고 있는 단어나 문장을 말할 수 있고, 스티커 붙이기를 좋아한다. 교실에서 맡은 일을 잘 해낼 수 있고 착석하는 것을 힘들어한다.
'교육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학생들을 위한 음악 수업은 연구가 필요하다 (0) | 2022.09.19 |
---|---|
특수학교 초등 수학수업을 위해 여러 준비가 필요하다 (0) | 2022.09.19 |
특수학교 음악 수업은 준비와 평가 설정이 중요하다 (0) | 2022.09.17 |
장애학생들을 지도할 땐 개별적으로 접근한다 (0) | 2022.09.16 |
시각장애아동에겐 조금 다른 방법으로 접근한다 (0) | 2022.09.15 |